React 환경설정
vscode에서 새 윈도우를 생성하고 터미널을 열어서
cd ---- 로 패키지 경로 설정을 한 이후에
npx create-react-app (패키지명) 을 통해서 react 패키지 설치하기.
터미널에 code nwitter를 입력하여 새창으로 프로젝트 오픈
이후 Github에 업로드시 새 레파지토리 생성을 하고
해당 레파지토리의 주소를 복사한다.
터미널에서 git remote add origin " 생성한 레파지토리 URL " 입력
입력후
error: remote origin already exists.
에러 발생시
git remote remove origin 명령어를 입력해서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원격 저장소와의 연결을 끊어줍니다.
git remote add origin [새롭게 연결할 깃 레파지토리 주소]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git remote -v 명령어를 입력해서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연결시켜줍니다.
git push origin master 명령어를 입력해서 소스코드를 올리면 됩니다.
https://coding-factory.tistory.com/619
참고 사이트
이후 vscode에서 src파일 정리해주기
App.js / index.js 에서 필요한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파일은 정리하기
package.json파일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으면
"scripts" : {"test": "react-scripts test"} 삭제하기
git add .
git commit -m " commit message 작성하기 "
git push origin master
github 레파지토리에 폴더가 업로드 된다.
Firebase 환경설정
https://firebase.google.com/?hl=en
Firebase | Google’s Mobile and Web App Development Platform
개발자가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앱과 게임을 빌드하도록 지원하는 Google의 모바일 및 웹 앱 개발 플랫폼인 Firebase에 대해 알아보세요.
firebase.google.com
firebase사이트에서 구글 로그인을 진행한 이후에 오른쪽 상단의 Go to console 클릭하고 프로젝트 생성하기
Web 버튼 클릭하고 app 생성하기
https://firebase.google.com/docs/reference/js?authuser=0&hl=en
API Reference | Firebase JavaScript API reference
The Firebase JavaScript SDK implements the client-side libraries for applications using Firebase services.
firebase.google.com
연결하는 방식으로는 세가지가 있다.
- CDN
- npm package
- Bower package
터미널을 사용해 설치하는 방법으로
npm i firebase 를 사용하며
지정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
npm i firebase@9.6.1
위와같이 뒤에 버전을 명시해준다.
import * as firebase from "firebase/app";
const firebaseConfig = {
apiKey: "AIzaSyDVQx8_EuVgA7zuy900FtgZlypeSW3SVfo",
authDomain: "nwitter-19df0.firebaseapp.com",
projectId: "nwitter-19df0",
storageBucket: "nwitter-19df0.appspot.com",
messagingSenderId: "36406489889",
appId: "1:36406489889:web:b8848bf464731bb17d8460"
};
export default firebase.initializeApp(firebaseConfig);
이후 firebase.js파일을 생성해주고 위 코드를 작성한다.
import firebase from './firebase';
index.js파일에 firebase를 import해준다.
// .env 사용하지 않은경우
const firebaseConfig = {
apiKey: "AIzaSyDVQx8_EuVgA7zuy900FtgZlypeSW3SVfo",
authDomain: "nwitter-19df0.firebaseapp.com",
projectId: "nwitter-19df0",
storageBucket: "nwitter-19df0.appspot.com",
messagingSenderId: "36406489889",
appId: "1:36406489889:web:b8848bf464731bb17d8460"
};
// .env사용한 경우
const firebaseConfig = {
apiKey: process.env.REACT_APP_API_KEY,
authDomain: process.env.REACT_APP_AUTH_DOMAIN,
projectId: process.env.REACT_APP_PROJECT_ID,
storageBucket: process.env.REACT_APP_STORAGE_BUCKET,
messagingSenderId: process.env.REACT_APP_MESSAGIN_ID,
appId: process.env.REACT_APP_APP_ID
};
firebase.js
REACT_APP_API_KEY=AIzaSyDVQx8_EuVgA7zuy900FtgZlypeSW3SVfo
REACT_APP_AUTH_DOMAIN=nwitter-19df0.firebaseapp.com
REACT_APP_PROJECT_ID=nwitter-19df0
REACT_APP_STORAGE_BUCKET=nwitter-19df0.appspot.com
REACT_APP_MESSAGIN_ID=36406489889
REACT_APP_APP_ID=1:36406489889:web:b8848bf464731bb17d8460
.env
.env 파일로 환경변수 설정해주기
create-react-app으로 사용한 경우 환경변수 설정을 할 땐 앞에 REACT_APP_ 을 명시해줘야 한다.
사용할땐 process.env.REACT_APP_--------- 로 사용한다.
.gitignore파일에 .env 명시가능, env파일은 프로젝트 최상위에 존재해야한다 ( package.json 과 같은선상 )
Routes를 만들기위해서
npm i react-router-dom을 작성하기
지정버전을 설치하고싶으면
npm i react-router-dom@5.3.0 로 작성하기